KOPRI Repository

Isotopic charateristic of Zealandia-Antarctic mantle

Cited 0 time in wos
Cited 0 time in scopus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Park, Sung Hyun-
dc.date.accessioned2021-08-11T00:31:00Z-
dc.date.available2021-08-11T00:31:00Z-
dc.date.issued2019-
dc.identifier.urihttps://repository.kopri.re.kr/handle/201206/12496-
dc.description.abstract상부 맨틀이 동위원소적으로 다른 태평양형과 인도양형으로 구분 되어 있으며 이 두 맨틀이 호주와 남극 사이에 위치한 호주 남극 부정 - 합 아래에서 만나고 있으며 (Auatralian-Antarctic Discordance) 태평 양형 맨틀이 인도양형을 향해 흘러 들어가고 있다는 것이 년 동안 30 통용되던 학설이었다 그러나 아라온호를 활용한 탐사와 동위원소 연 . 구를 통해 뉴질랜드와 남극 대륙 사이에 위치한 호주 남극 중앙해령에 - 대한 연구결과 태평양형과 인도양형 맨틀 사이에는 이 두 맨틀과 동위 원소적으로 다른 질란디아 남극 맨틀 이 존재한다는 사실이 확인되었 ‘ - ’ 다 따라서 인도양형 맨틀과 경계를 이룬 맨틀은 태평양형 맨틀이 아 . 니라 질란디아 남극 맨틀 이며 호주 남극 부정합도 더 이상 태평양형 ‘ - ’ - 과 인도양형 맨틀의 경계일 수 없게 되었다 질란디아 남극 맨틀의 태 . 평양쪽 경계는 매쿼리 섬 동편과 태평양 남극 중앙해령 사이에 위치한 - 대규모의 균열대에 위치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질란디아 남극 맨틀은 . - 원래 곤드와나 대륙을 구성하고 있었던 호주 뉴질랜드 그리고 남극 , 대륙을 쪼개고 분리시킨 하부 맨틀의 상승 작용 맨틀 플룸 에서 기원 ( ) 한 것으로 추측된다 이 맨틀 플룸은 약 구 천만 년 전 하부 맨틀로부 . 터 상승하여 곤드와나 대륙 아래에 도달 대륙의 균열을 일으킨 후 남 , 극대륙 아래에서 현재까지도 지속적으로 상승하고 있는 것으로 사료된 다 지표 가까이 상승한 맨틀은 북쪽 뉴질랜드를 향해 흘러 호주 남극 . - 중앙해령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en_US
dc.languageKoreanen_US
dc.language.isokoen_US
dc.titleIsotopic charateristic of Zealandia-Antarctic mantleen_US
dc.title.alternative질란디아 남극 맨틀의 동위원소적 특성en_US
dc.typeProceedingen_US
dc.identifier.bibliographicCitationPark, Sung Hyun. 2019. Isotopic charateristic of Zealandia-Antarctic mantle. 2019 Fall Joint Conference of the Geological Sciences. Ramada Plaza Jeju Hotel. 2019.10.23~2019.10.25.-
dc.citation.conferenceDate2019.10.23~2019.10.25en_US
dc.citation.conferenceName2019 Fall Joint Conference of the Geological Sciencesen_US
dc.citation.conferencePlaceRamada Plaza Jeju Hotelen_US
dc.description.articleClassification세미나-학술발표-
dc.identifier.localId2019-0329-
Appears in Collections  
2019-2019, Characterizing mantle domain beneath West Antarctic Rift System and Antarctic mid-ocean ridges (19-19) / Park, Yongcheol (PE19050)
Files in This Item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