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PRI Repository

북극 Kongsfjorden 내 해빙에 따른 자외선 흡수 물질 및 유기물 변화에 대한 연구

Cited 0 time in wos
Cited 0 time in scopus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Ha, Sun-Yong-
dc.contributor.authorMin, Jun-Oh-
dc.contributor.authorKim, Sang-Il-
dc.contributor.authorPark, Se-young-
dc.contributor.authorPark, Mi-Ok-
dc.contributor.authorShin, KyungHun-
dc.contributor.authorKim, Hyun-cheol-
dc.coverage.spatialKongsfjorden-
dc.date.accessioned2017-08-03T14:03:06Z-
dc.date.available2017-08-03T14:03:06Z-
dc.date.issued2014-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2011년 5월 22일부터 5월 31일까지 북극 스발바드 연근해 Kongsfjorden 만 내해역에서 R/V Teisten를 이용하여 총 10개 정점 표층 및 중층 (30 m)의 해수와 2013년 6월 26일부터 7월 4 일까지는 총 19개 정점의 표층 해수 시료를 채취 하였다. 각 현장 해수 내 입자성 유기물질 (POM) 의 자외선 흡수 물질인 Mycosporine-like amino acids (MAAs) 및 입자성 유기물질 내 유기 탄소를 분석하였다. 2011년 채취된 시료 분석 결과, Kongsfjorden 만 POM 내 엽록소 a의 농도는 표층에 서 0.42 (±0.16) μg/L를 보이는 반면 중층의 해수는 0.63 (±0.23) μg/L를 보이고 있다. 자외선 흡수 물질의 경우 총 MAAs의 농도는 표층 해수에서 중층 (0.86 (±0.37) μg/ μg chl a)에 비해 상당히 높 은 2.96 (±1.87) μg/ μg chl a 값을 보이고 있다. 2013년에 분석된 엽록소 a의 농도는 표층에서 1.5 (±0.85) μg/L로 2011년에 비해 높은 값을 보이고 있지만 총 MAAs의 농도는 상대적으로 낮은 0.31 (±0.32) μg/ μg chl a를 보이고 있다. 총 MAAs의 농도는 공간적으로 Kongsfjorden 만 내에 비슷한 농도로 분포하고 있으나 용존 유기질소의 유입이 상대적으로 높은 Krossfjorden 내측 정점에서 총 MAAs 농도 또한 높은 값을 보이고 있다. 용존 유기탄소 및 질소의 농도는 1.1 (±0.3) mg/L 과 0.11 (±0.05) mg/L 값을 각각 나타내고 있다. 2011년에 비해 2013년은 초여름시기로 주변 동토층 및 빙하 로부터 다량의 융빙수가 유입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주변 빙하 및 동토층 해빙기 전후 시기에 유입하는 융빙수의 영향에 따라 Kongsfjorden 만 내에 서식하는 식물플랑크톤의 광보호 물질의 변 화 및 유기물 분포 양상을 살펴보았다.-
dc.languageKorean-
dc.title북극 Kongsfjorden 내 해빙에 따른 자외선 흡수 물질 및 유기물 변화에 대한 연구-
dc.typePoster-
dc.identifier.bibliographicCitationHa, Sun-Yong, et al. 2014. 북극 Kongsfjorden 내 해빙에 따른 자외선 흡수 물질 및 유기물 변화에 대한 연구. 2014년도 한국해양과학기술협의회 공동학술대회. 부산. 2014. 5.22.-23.-
dc.citation.conferenceDate2014. 5.22.-23-
dc.citation.conferenceName2014년도 한국해양과학기술협의회 공동학술대회-
dc.citation.conferencePlace부산-
dc.subject.keywordR/V Teisten-
Appears in Collections  
2014-2016, SaTellite Remote Sensing on West Antarctic Ocean Research (STAR) (14-16) / Kim; Hyun-cheol (PE14040; PE15040; PE16040)
Files in This Item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