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PRI Repository

Phylogeography and Diversity of Ulva (Ulvaceae,Chlorophyta) in Korea

Cited 0 time in wos
Cited 0 time in scopus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Kim, Min-Jung-
dc.contributor.author김광용-
dc.contributor.author강은주-
dc.contributor.authorKang, Sung-Ho-
dc.contributor.authorJung, Moon-Yong-
dc.contributor.authorChoi, Han-Gu-
dc.contributor.authorJeon, Misa-
dc.contributor.authorJung, Min Gui-
dc.contributor.author김주형-
dc.contributor.author배은희-
dc.date.issued2009-
dc.identifier.urihttps://repository.kopri.re.kr/handle/201206/7899-
dc.description.abstract녹조 갈파래목에 속하는 갈파래속은 전 세계적으로 분포하는 분류군으로 100 여종이 알려져 있다. 갈파래속에 속하는 종들은 형태가 단순하여 비교 형질이 다양하지 않으며, 형질 변이의 폭이 넓어 동정이 매우 어려운 분류군이다. 또한 인위적인 전파에 의해 과거 우리나라의 해조류의 목록에는 기록되어 있지 않았던 종들이 우리나라의 해안에서 자주 관찰되기도 하며, 이들 중에는 간혹 대발생을 일으켜 연안생태계에 심각한 악영향을 미치는 종들도 보고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의 동, 서, 남해안과 제주도의 대표적인 지역에서 생육하는 갈파래속 종들을 대상으로 형태 형질과 분자 형질을 분석하여 종의 다양성과 계통지리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본 발표에서는 연구의 초기실험 단계에서 동해안(구룡포, 포항)과 남해안(남해 하동, 함평만) 그리고 제주도(산방산 용머리해안)에서 채집한 갈파래속 식물을 대상으로 한 형태 자료와 핵의 ITS1-5.8S-ITS2 rDNA와 5S spacer 그리고 엽록체의 rbcL 염기서열 자료의 분석 결과를 비교 고찰하였다.-
dc.languageKorean-
dc.titlePhylogeography and Diversity of Ulva (Ulvaceae,Chlorophyta) in Korea-
dc.title.alternative우리나라에 생육하는 녹조 갈파래속의 다양성과 계통지리-
dc.typeProceeding-
dc.identifier.bibliographicCitationKim, Min-Jung, et al. 2009. Phylogeography and Diversity of Ulva (Ulvaceae,Chlorophyta) in Korea. 한국조류학회. 한국조류학회. 2009.06.05~.-
dc.citation.volume23-
dc.citation.number23-
dc.citation.conferenceDate2009.06.05~-
dc.citation.conferenceName한국조류학회-
dc.citation.conferencePlace한국조류학회-
dc.description.articleClassificationPro(초록)국내-
dc.subject.keywordChlorophyta-
dc.subject.keywordPhylogeography-
dc.subject.keywordUlvaceae-
dc.subject.keyword갈파래속-
dc.subject.keyword파래-
dc.identifier.localId2009-0046-
Appears in Collections  
2006-2010, Research on culturable polar organisms and their application (06-10) / Kang, Sung-Ho; Choi, Han-Gu (PE06060, PE07060, PE08060, PE09060, PE10060)
Files in This Item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