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PRI Repository

Korean Climate Change Assessment Report 2020 (Chap.5)

Cited 0 time in wos
Cited 0 time in scopus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김준-
dc.contributor.author강민석-
dc.contributor.author김득수-
dc.contributor.author김현미-
dc.contributor.author김현석-
dc.contributor.author류영렬-
dc.contributor.author박지형-
dc.contributor.author이미혜-
dc.contributor.authorChoi, Taejin-
dc.date.accessioned2021-09-16T02:31:54Z-
dc.date.available2021-09-16T02:31:54Z-
dc.date.issued2020-07-
dc.identifier.issn9788995471579-
dc.identifier.urihttps://repository.kopri.re.kr/handle/201206/12832-
dc.description.abstract「한국 기후변화 평가보고서 2014」에서 탄소순환은 기후 시스템의 중추적 구성요소로서 기후변화와 관련된 다양한 규모의 복합적 강제력, 비선형 반응, 되먹임 등을 통합할 뿐 아니라 다른 생지화학순환과 연결되어 생태계의 건강과 오염 및 대기질에 심각한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지적하였다. 본 장에 요약된 내용은 「한국 기후변화 평가보고서 2014」에서 제5장 ‘탄소순환과 기타 생지화학순환’에서 다루어진 내용을 보완한 것이다. 주로 기후 시스템에 대한 주요 생지화학적 되먹임의 중요성과 추세 및 이해수준의 평가를 목적으로 그동안 국내에서 추가로 이루어진 연구들을 중심으로 한반도의 기후 시스템과 생물리 및 생지화학과정의 이해수준에 대하여 요약하였다. 본 장은 크게 네 부분으로 (1) 서론, (2) 탄소순환, (3) 기타 생지화학순환, (4) 결론으로 구성되어 있다. 탄소순환은 관측과 모델링 및 관측 융합으로 나누었고, 관측의 경우 국내 육상생태계에서의 연구를 중심으로, 산림생태계의 탄소순환 관측 및 농업생태계의 탄소순환 관측 결과를 보완하였다. 또한 새롭게 담수생태계와 극지생태계에서의 탄소순환 관측 연구 결과를 추가하였다. 탄소순환 모델링 및 관측 융합에서는 1) 관측자료 기반의 모델링과 2) 아시아 탄소추적시스템으로 나누어 요약하였다. 기타 생지화학순환은 1) 질소순환과 2) 단수명 기후변화유발물질순환으로 나누어 요약하였다.en_US
dc.languageKoreanen_US
dc.language.isokoen_US
dc.publisher기상청en_US
dc.titleKorean Climate Change Assessment Report 2020 (Chap.5)en_US
dc.title.alternative한국 기후변화 평가보고서 2020 (Chap.5)en_US
dc.typeBook Chapter-
dc.identifier.bibliographicCitation김준, ed. 2020. Korean Climate Change Assessment Report 2020.en_US
dc.citation.startPage137en_US
dc.citation.endPage165en_US
dc.description.articleClassification국내 편저(Chapter)-
dc.subject.keyword생태계en_US
dc.subject.keyword질소순환en_US
dc.subject.keyword탄소순환en_US
dc.subject.keyword툰드라en_US
dc.identifier.localId2020-0326-
Appears in Collections  
2020-2020, Arctic permafrost environment change monitoring and prediction method developments (20-20) / Lee, Bang Yong (PN20081)
Files in This Item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