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PRI Repository

Surface radiative flux simulated in Polar WRF for Arctic winters

Cited 0 time in wos
Cited 0 time in scopus
Title
Surface radiative flux simulated in Polar WRF for Arctic winters
Other Titles
Polar WRF에서 모의되는 겨울철 북극 지면의 하향 장파복사량 검증과 구름물리과정에 대한 민감도 평가
Authors
Jo, Heeje
Jun, Sang-Yoon
Ho, Chang-Hoi
Issue Date
2019
Citation
Jo, Heeje, Jun, Sang-Yoon, Ho, Chang-Hoi. 2019. Surface radiative flux simulated in Polar WRF for Arctic winters. 2019 Korean Meteorological Society Atmospheric Physics Environment and Applied Meteorology Section Spring Conference. Ewha Womans University. 2019.05.02~2019.05.03.
Abstract
지구표면에서 하향 장파복사는 지역 기후를 이해하는데 중요하다. 특히 해가 없는 북극지역의 겨울에 해빙면적의 경년변동 및 선형추세를 설명하는데 필수적인 물리요소로 여겨진다. 기온, 수증기, 구름 등의 대기 연직 구조를 안다면 장파복사 크기의 분포를 정확하게 계산할 수 있다. 이 중에서 기온과 수증기는 위성자료로부터 충분한 시-공간 해상도의 관측값을 얻을 수 있지만, 구름, 즉 물과 얼음 입자의 연직 구조에 대한 정보는 아직도 큰 불확실성을 갖고 있다. 더욱이 겨울철 북극에는 태양광을 이용한 위성 구름 관측의 신뢰도가 낮고, 혹독한 기후로 인해 지상관측이 제한되어 있다. 이로 인하여 수치모델이 겨울철 북극을 모의할 때 지면 장파복사량의 불확실성이 크므로 수치모델이 모의하는 지표 및 대기상부의 장파복사의 정확도는 그 자체뿐 아니라, 구름과 그 효과가 잘 모의되는지를 간접적으로 가늠해 볼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북극해 및 주변 고위도 지역에 위치한 6개 관측소의 복사량계 자료를 이용하여 Polar WRF가 모의하는 겨울철 지면 하향 장파복사량의 모의 정확도를 진단하였다. Polar WRF에서 서로 다른 구름미세물리과정이 사용되었을 때 구름의 모의 특성이 얼마나 달라지고, 이로 인한 장파 복사효과의 차이는 어느 정도인지를 살펴보았다. 2015년 12월, 2016년 1월의 2 개월 동안 Polar WRF가 모의한 결과를 각 관측소의 복사 관측자료와 비교하였는데, 일 평균 시계열 분석 결과, Polar WRF의 지면 복사량은 종관규모의 변동성을 잘 모의하지만, 관측소 지점 각각에서의 평균오차는 서로 큰 차이를 보였다. Morrison 물리과정은 WSM-6 물리과정보다 강한 하향 장파복사량을 모의하고 있으며, 이는 두 물리과정의 강수특성 차이 때문으로 추정된다. 본 결과가 향후 모델링을 통한 북극 겨울의 구름 효과를 연구하는데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한다.
URI
https://repository.kopri.re.kr/handle/201206/12553
Conference Name
2019 Korean Meteorological Society Atmospheric Physics Environment and Applied Meteorology Section Spring Conference
Conference Place
Ewha Womans University
Conference Date
2019.05.02~2019.05.03
Type
Proceeding
Indexed
Pro(초록)국내
Appears in Collections  
2019-2019,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the Korea Polar Prediction System (KPOPS) for Climate Change and Disasterous Weather Events (19-19) / Kim, Joo-Hong (PE19130)
Files in This Item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