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름철 북위48도와 남위55도 사이 태평양에서의 대기 중 비해염성 황산염과 메탄술폰산의 분포
척치해와 보퍼트해에서의 영양염과 용존유기물의 분포
북극해 척치 보더랜드에서의 해양 및 해빙 관측
아문젠해역에서의 영양염, 용존 및 입자상 유기물질들의 생지화학적 특성
척치해와 버포트 해역에서의 영양염과 용존유기탄소 및 질소의 공간적 분포
2014년 해빙캠프 기간 중 해빙 위에 존재하는 얼음호수와 눈의 영양염 성분들
아문젠 해역에서의 영양염, 용존 및 입자상 유기물질들의 생지화학적 특성
남극 아문젠 해역 폴리냐에서의 식물플랑크톤의 종다양성과 유색용존유기물 생산과의 관계
남극 아문젠 해역에서의 식물플랑크톤의 구조와 생물량에 영향을 미치는 물리적 요인의 영향
아라온 관측 해역 유기탄소 및 유기질소 물질순환 특성 연구
THE INFLUENCE OF REDUCED LIGHT ON THE PHYTOPLANKTON BIOMASS AND COMMUNITY STRUCTURE DURING SPRING BLOOM IN THE AMUNDSEN SEA POLYNYA, ANTARCTICA.
Effect of sea ice melting processes on phytoplanktonk physiology in the northern Chukchi Sea
북극 북척치해역에서의 수괴분포 변동성연구
북서태평양에서의 봄철 황사의 공간적, 시간적 변동성과 황사가 클로로필 a 농도에 미치는 영향
북극 아메라시아 분지에서 고동노의 단백질 유사 형상물질: 가을 식물성 플랑크톤 번성의 잠재적 의미
The influence of sea ice concentration on phytoplankton community structure in the Chukchi and East Siberian Seas.
서북극해 척치보더랜드에서의 수괴거동 연구
북극척치해 난분해성 유기물 기여도 파악
아문젠해 특성화 생태계 모델: 하위 생태계 재현 결과
섬모충류는 서북극해 수괴의 수직특성의 지시자로 사용될수 있을까?
해양 철 시비 실험 : 과거-현재-미래전망을 통한 한국형 철시비 실험 구상
2016년 남극 하계기간동안 아문젠 연안해역 식물플랑크톤 조성에 미치는 단기환경변동의 영향
척치해 대륙붕단에서의 냉염분약측수의 관측 연구
DBO3에서의 2014-2017 그리고 2019년 극지연구소의 관측결과
2019년 여름 북극해에서 황화디메틸과 ΔO2/Ar의 시공간 분포
온대 및 극지 해역의 표층 영양염 조건이 식물플랑크톤 광합성 효율에 미치는 영향
SAS-Korea 2019년 연구결과 및 계획 소개
북극다산기지 주변 콩스피오르드에서 봄철 및 가을철 식물플랑크톤의 공간적 분포